반응형
철근의 부동태막이란?
- 부식할 가능성을 가진 금속이 내식상태를 를 부동태라하며, 콘크리트에 둘러 쌓인 철근 표면에 20~60Å(옹스트롬) 정도의 두께로 이루어진 부식하기 어려운 성질을 가진 막을 부동태막이라 한다.
부동태막을 설명하기 앞서 Å(옹스트롬)이라는 단위를 m와 nm로 환산하면,
- 1Å = 1/10,000,000,000m
- 10 [Å] = 1 [nm], 또는 1 [Å] = 0.1 [nm]
부동태막의 정의
- 부식할 가능성을 가진 금속이 그 활성을 잃고 부식하기 어려운 성질을 가진 내식상태를 부동태라고 한다.
- 콘크리트에 둘러 쌓인 철근 표면에 20~60Å(옹스트롬) 정도의 두께로 이루어진 부식하기 어려운 성질을 가진 막을 부동태막이라 하며,
- 부동태막은 일반적으로 강재표면에 산소가 화학 흡착하고, 그 위에 치밀한 산화물층이 생성되는 것으로, 대단히 얇은 막을 말한다.
반응형
'건축시공기술사 서브노트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콘크리트 중성화의 개요(정의, 발생원인, 양상) 및 중성화 시험방법과 방지 대책 (0) | 2021.05.11 |
---|---|
[강재의 비파괴 시험] 초음파 탐상 시험(UT : ultrasonic testing)의 원리, 적용범위, 평가 방법 등 (0) | 2021.05.10 |
콘크리트 비파괴시험 중 철근탐사(철근배근상태 평가) 목적 및 시험 원리, 방법 등 (0) | 2021.05.07 |
콘크리트 비파괴시험 중 초음파법에 의한 강도시험 및 균열 깊이 평가 (0) | 2021.05.07 |
경화된 콘크리트 강도 시험의 종류와 콘크리트 구조물의 비파괴시험 종류 및 특성 (0) | 2021.05.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