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현업에 계신 분들이나 기술사를 준비하고 계시는 분들, 그리고 면접을 앞둔 분들을 위해 콘크리트 학회나 건축공사 표준시방서, 건설기술용어집에서 정의하고 있는 특수콘크리트의 정의에 대해 최신 기준으로 정리하였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국가건설기준센터 콘크리트공사 표준시방서 KCS 14 20 00에서 분류하고 있는 특수콘크리트는 21개입니다. 아래 글을 통해 특수콘크리트의 정의에 대해 설명하고 그와 관계된 다른 용어의 정의에 대해서도 작성하였습니다.
- 경량골재 콘크리트
- 순환골재 콘크리트
- 섬유보강 콘크리트
- 폴리머시멘트 콘크리트
- 팽창 콘크리트
- 수밀 콘크리트
- 유동화 콘크리트
- 고유동 콘크리트
- 고강도 콘크리트
- 방사선 차폐용 콘크리트
- 한중 콘크리트
- 서중 콘크리트
- 매스콘크리트
- 수중 콘크리트
- 해양 콘크리트
-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
- 숏크리트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 외장용 노출 콘크리트
- 합성구조 콘크리트
1. 경량골재 콘크리트
- 경량골재 콘크리트(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 골재의 전부 또는 일부를 경량골재를 사용하여 제조한 콘크리트로 설계기준압축강도가 15MPa이상으로 기건 단위질량이 2,100 kg/㎥ 미만인 것.
- 경량골재(lightweight aggregate) : 일반 골재보다 낮은 밀도를 가지는 골재로서 KS F 2527에서는 발생원에 따라 천연경량골재, 인공경량골재, 바텀애시경량골재로 분류함.
- 천연경량골재(natural lightweight aggregate) : 경석, 화산암, 응회암 등과 같은 천연재료를 가공한 골재로, KS F 2527에서는 천연경량잔골재(NLS, natural lightweight sand)와 천연경량굵은골재(NLG, natural lightweight gravel)로 구분함
- 인공경량골재(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 : 고로슬래그, 점토, 규조토암, 석탄회, 점판암과 같은 원료를 팽창, 소성, 소괴하여 생산되는 골재로, 인공경량잔골재(ALS, artificial lightweight sand)와 인공경량굵은골재(ALG, artificial lightweight gravel)로 구분함.
- 바텀애시경량골재(bottom ash lightweight aggregate) : 화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바텀애시를 가공한 골재로 잔골재(BLS, bottom ash lightweight sand)의 형태인 것.
- 부립률(float ratio) : 일반적으로 경량골재 입자의 크기가 클수록 밀도가 감소하는데, 품질관리를 위해 정의한 경량골재 중 물에 뜨는 입자의 백분율.
- 프리웨팅(pre-wetting) : 경량골재를 건조한 상태로 사용하면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제조 및 운반 중에 물을 흡수하므로, 이를 줄이기 위해 경량골재를 사용하기 전에 미리 흡수시키는 조작
- 모래경량 콘크리트(sand lightweight concrete) : KDS 14 20 10 또는 ACI 318-14에서 경량콘크리트계수를 정의하기 위해 사용하는 분류법으로, 잔골재는 일반 골재(또는 일반골재와 경량골재 혼용)를 사용하고, 굵을 골재를 경량골재로 사용한 콘크리트를 지칭함.
- 전경량 콘크리트(all-lightweight concrete) : KDS 14 20 10 또는 ACI 318-14에서 경량콘크리트계수를 정의하기 위해 사용하는 분류법으로, 잔골재와 굵은골재 모두를 경량골재로 사용한 콘크리트를 지칭하며 경량골재 콘크리트 2종에 해당함.
- 기건 단위질량(air-dry density) : KS F 2462에서 정의한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단위질량으로, 경량골재 콘크리트 공시체를 (16 ~ 27) ℃의 온도로 수분의 증발이나 흡수가 없이 7일간 양생한 후 온도 (23 ± 1) ℃와 상대습도 (50 ± 5) %에서 21일간 건조시킨 공시체로 측정한 단위질량.
- 평형상태밀도(equilibrium density) : ASTM C 567에서 정의한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단위질량으로, 현장에서의 양생 조건이 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 경량골재 콘크리트 공시체를 (16 ~ 27) ℃의 온도로 수분의 증발이나 흡수가 없이 7일간 양생하고, (23 ± 2) ℃에서 24시간 침지시킨 후 온도 (23 ± 2) ℃와 상대습도 (50 ± 5) %에서 건조시킨 공시체의 질량 변화가 0.5 % 이하가 되었을 때 측정한 단위질량 .
- 절건 단위질량(oven-dry density) : KS F 2462에서 간이 시험법으로 정의한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노건조 질량으로, 경량골재 콘크리트 공시체를 (16 ~ 27) ℃의 온도로 수분의 손실을 막고 24시간 저장한 후 탈형하여 72시간 동안 (105 ± 5) ℃에서 건조시키고 실내 온도로 식혀서 측정한 단위질량.
- 절건상태밀도(oven-dry density) : ASTM C 567에서 정의한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단위질량으로, 경량골재 콘크리트 공시체를 24에서 32 시간 저장한 후 탈형하여 (110 ± 5) ℃에서 처음 72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1시간 이내에서 실내 온도로 식힌 공시체의 질량 변화가 24시간 동안 0.5 % 이하가 되었을 때 측정한 단위질량
2. 순환골재 콘크리트
- 순환골재 콘크리트 : 순환골재를 일부 또는 전부를 사용한 콘크리트
- 산지(place of production) : 순환골재 제조 전의 폐콘크리트 발생지
- 순환골재(recycled aggregate) : 건설폐기물을 물리적 또는 화학적 처리과정 등을 통하여 순환골재 품질기준에 적합하게 만든 골재
3. 섬유보강 콘크리트
- 섬유보강 콘크리트(fiber reinforced concrete) : 보강용 섬유를 혼입하여 주로 인성, 균열 억제,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 등을 높인 콘크리트
- 섬유 혼입률(fiber volume fraction) : 섬유보강 콘크리트 1 ㎥ 중에 포함된 섬유의 용적백분율(%)
4. 폴리머시멘트 콘크리트
-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polymer-modified concrete, PMC 또는 polymer-cement concrete, PCC) : 결합재로 시멘트와 시멘트 혼화용 폴리머(또는 폴리머 혼화재)를 사용한 콘크리트
- 시멘트 개질용 폴리머 또는 폴리머 혼화재(polymer for cement modifier, polymeric admixture) : 시멘트 페이스트,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의 개질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시멘트 혼화용 폴리머 분산제 및 재유화형 분말수지의 총칭
- 시멘트 혼화용 재유화형 분말수지(redispersible polymer powder) : 시멘트 혼화용 폴리머(또는 폴리머 혼화재)의 일종으로 고무라텍스 및 수지 에멀션에 안정제 등을 첨가한 것을 건조시켜 얻은 재유화가 가능한 분말형 수지
- 시멘트 혼화용 폴리머 분산제(polymer dispersion) : 시멘트 혼화용 폴리머(또는 폴리머 혼화재)의 일종으로 수중에 입경 (0.05 ~ 1) ㎛의 폴리머 미립자가 분산되어 있는 것으로, 미립자가 고무인 경우를 라텍스(latex), 합성수지의 경우를 에멀션(emulsion)이라 함
-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polymer-modified mortar, PMM 또는 polymer-cement mortar, PCM) : 결합재로 시멘트와 시멘트 혼화용 폴리머(또는 폴리머 혼화재)를 사용한 모르타르
- 폴리머 시멘트비(polymer-cement ratio, P/C) : 폴리머 시멘트 페이스트,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에 있어서 시멘트에 대한 시멘트 혼화용 폴리머 분산제 및 재유화형 분말수지에 함유된 전 고형분의 질량비
- 폴리머 시멘트 페이스트(polymer-modified paste, PMP 또는 polymer-cement paste, PCP) : 결합재로 시멘트와 시멘트 혼화용 폴리머(또는 폴리머 혼화재)를 사용한 페이스트
5. 팽창 콘크리트
- 팽창재(expansive additive) : 시멘트와 물의 수화반응에 의해 에트린자이트 또는 수산화칼슘 등을 생성하고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팽창시키는 작용을 하는 혼화 재료
- 팽창콘크리트(expansive concrete) : 팽창재 또는 팽창시멘트의 사용에 의해 팽창성이 부여된 콘크리트
6. 수밀 콘크리트
- 균열저감제(crack reducing agent):콘크리트의 블리딩을 저감시키고, 시공 후 수화과정에서 콘크리트의 결함부를 충전하는 불용성 혹은 난용성 화합물을 생성시켜 소성수축, 건조수축 등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수축균열을 억제하는 기능성 혼화 재료
- 방수재료(waterproofing admixture):콘크리트의 수밀성을 보다 높게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콘크리트 혼입용 방수재료
- 수밀성(watertightness):투수성이나 투습성이 작은 성질
- 수밀콘크리트(watertight concrete):수밀성이 큰 콘크리트 또는 투수성이 작은 콘크리트
- 콜드조인트(cold joint):먼저 타설된 콘크리트와 나중에 타설된 콘크리트 사이에 완전히 일체화가 되어있지 않은 이음
- 팽창재(expansive additive):시멘트와 물의 수화반응에 의해 에트린자이트 또는 수산화칼슘 등을 생성하고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팽창시키는 작용을 하는 혼화 재료
- 포졸란(pozzolan):혼화재의 일종으로서 그 자체에는 수경성이 없으나 콘크리트 중의 물에 용해되어 있는 수산화칼슘과 상온에서 천천히 화합하여 물에 녹지 않는 화합물을 만들 수 있는 실리카질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미분말 상태의 재료
7. 유동화 콘크리트
- 유동화 콘크리트(superplasticized concrete) : 미리 비빈 베이스 콘크리트에 유동화제를 첨가하여 유동성을 증대시킨 콘크리트
- 베이스 콘크리트(base concrete) :1) 유동화 콘크리트를 제조할 때 유동화제를 첨가하기전 기본배합의 콘크리트, 2) 숏크리트의 습식 방식에서 사용하는 급결제를 첨가하기 전의 콘크리트
- 유동화제(plasticizer) : 배합이나 굳은 후의 콘크리트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고 미리 혼합된 베이스 콘크리트에 첨가하여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혼화제
8. 고유동 콘크리트
- 고유동 콘크리트(high fluidity concrete) : 굳지 않은 상태에서 재료 분리 없이 높은 유동성을 가지면서 다짐 작업 없이 자기 충전이 가능한 콘크리트
- 결합재(binder) : 물과 반응하여 콘크리트의 강도 발현에 기여하는 물질을 생성하는 것의 총칭으로 시멘트, 고로 슬래그 미분말, 플라이 애시 및 실리카 퓸 등을 함유하는 것
- 분체(powder) : 시멘트, 고로 슬래그 미분말, 플라이 애시 및 실리카 퓸 등과 같은 반응성을 가진 것과 석회석 미분말과 같이 반응성이 없는 무기질 미분말 혼합물의 총칭
- 슬럼프 플로(slump flow) : KS F 2594에 의거 슬럼프 플로 시험을 실시하고 난 후 원형으로 넓게 퍼진 콘크리트의 지름(최대 직경과 이에 직교하는 직경의 평균)으로 굳지 않은 콘크리트 유동성을 나타낸 값
- 슬럼프 플로 도달시간(reaching time of slump flow) : 슬럼프 플로 시험에서 소정의 슬럼프 플로에 도달(일반적으로 500mm)하는데 요하는 시간
- 유동성(fluidity) : 중력이나 밀도에 따라 유동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
- 자기 충전성(self-compacting ability) :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다짐 작업 없이 자중만으로 철근 등을 통과하여 거푸집의 구석구석까지 균질하게 채워지는 정도를 나타내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
- 재료 분리 저항성(resistance to segregation) : 중력이나 외력 등에 의한 재료 분리 작용에 대하여 콘크리트 구성재료 분포의 균질성을 유지시키려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
- 증점제(viscosity-modifying agent) :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재료 분리 저항성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갖는 혼화제
9. 고강도 콘크리트
- 고강도 콘크리트 : 설계기준압축강도가 보통(중량) 콘크리트에서 40MPa이상, 경량골재 콘크리트에서 27MPa이상인 경우의 콘크리트
- 폭렬(explosive fracture) : 화재 시 급격한 고온에 의해 내부 수증기압이 발생하고, 이 수증기압이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보다 크게 되면 콘크리트 부재 표면이 심한 폭음과 함께 박리 및 탈락하는 현상
10. 방사선 차폐용 콘크리트
- 방사선 차폐용 콘크리트(radiation shielding concrete) : 주로 생물체의 방호를 위하여 X선, γ선 및 중성자선 을 차폐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콘크리트
11. 한중 콘크리트
- 한중 콘크리트 : 콘크리트 타설 후의 양생기간에 콘크리트가 동결 할 우려가 있는 시기에 시공되는 콘크리트
- 한중 콘크리트의 적용범위 : 하루평균기온이 4 ℃ 이하가 예상되는 조건일 때는 콘크리트가 동결할 우려가 있으므로 한중 콘크리트로 시공하여야 한다.
- 급열 양생(heat curing) : 양생기간 중 어떤 열원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가열하는 양생
- 단열양생(insulating curing) : 단열성이 높은 재료로 콘크리트 주위를 감싸 시멘트의 수화열을 이용하여 보온 하는 양생
- 피복양생(surface-covered curing) : 시트 등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표면 온도를 저하시키지 않는 양생
- 현장봉함양생(sealed curing at job site) : 콘크리트가 기온이 변화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표면에서 물의 출입이 없는 상태를 유지한 공시체의 양생
- 초기 동해(early frost damage) : 응결 및 경화의 초기에 받는 콘크리트의 동해
12. 서중 콘크리트
- 서중 콘크리트(hot weather concreting) : 높은 외부기온으로 인하여 콘크리트의 슬럼프 또는 슬럼프 플로 저하나 수분의 급격한 증발 등의 우려가 있을 경우에 시공되는 콘크리트로서 하루평균기온이 25℃를 초과하는 경우 서중 콘크리트로 시공한다.
13. 매스 콘크리트
- 매스 콘크리트(mass concrete):부재 혹은 구조물의 치수가 커서 시멘트의 수화열에 의한 온도 상승 및 강하를 고려하여 설계·시공해야 하는 콘크리트
- 매스 콘크리트 적용범위 : 매스 콘크리트로 다루어야 하는 구조물의 부재치수는 일반적인 표준으로서 넓이가 넓은 평판구조의 경우 두께 0.8 m 이상, 하단이 구속된 벽체의 경우 두께 0.5 m 이상으로 한다. 그러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나 고강도 콘크리트 구조물 등 부배합의 콘크리트가 쓰이는 경우에는 더 얇은 부재라도 구속조건에 따라 적용대상이 된다.
- 관로식 냉각(pipe-cooling):매스 콘크리트의 시공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콘크리트의 내부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미리 묻어 둔 파이프 내부에 냉수 또는 공기를 강제적으로 순환시켜 콘크리트를 냉각하는 방법으로 포스트 쿨링(post-cooling)이라고도 함.
- 급열 양생(heat curing):양생 기간 중 어떤 열원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보온하여 시행하는 양생
- 내부구속(internal restraint):콘크리트 단면 내의 온도 차이에 의한 변형의 부등분포에 의해 발생하는 구속작용
- 단열온도상승곡선(adiabatic temperature rise curve):단열상태에서 시간에 따른 콘크리트 배합의 온도상승량을 도시한 곡선으로서 콘크리트의 수화발열 특성을 나타냄.
- 보온 양생(insulation curing):단열성이 높은 재료 등으로 콘크리트 표면을 덮어 열의 방출을 적극 억제하여 시멘트의 수화열을 이용해서 필요한 온도를 유지하고 부재의 내부와 표면의 온도차이를 저감하는 양생
- 선행 냉각(pre-cooling):매스 콘크리트의 시공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콘크리트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얼음이나 액체질소 등으로 콘크리트 원재료를 냉각하는 방법
- 수축ㆍ온도철근(shrinkage-temperature reinforcement):수축과 온도 변화에 의한 균열을 억제하기 위해 쓰이는 철근
- 수축이음(contraction joint):온도균열 및 콘크리트의 수축에 의한 균열을 제어하기 위해서 구조물의 길이 방향에 일정 간격으로 단면 감소 부분을 만들어 그 부분에 균열이 집중되도록 하고, 나머지 부분에서는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균열이 발생한 위치에 대한 사후 조치를 쉽게 하기 위한 이음으로 수축줄눈, 균열유발이음, 균열유발줄눈이라고도 함.
- 수평 시공이음(horizontal construction joint):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작업성이나 온도균열의 제어를 고려하여 설계되는 수평의 시공이음
- 시공이음(construction joint):콘크리트를 여러 번 분할 시공할 때 발생하는 이음으로서 설계할 때는 연속된 구조체로 취급됨.
- 신축이음(expansion joint):구조물의 신축에 대응하기 위해 설치하는 이음
- 연직 시공이음(vertical construction joint):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작업성이나 온도균열의 제어를 고려하여 설계되는 연직의 시공이음
- 온도균열지수(thermal crack index):매스 콘크리트의 균열 발생 검토에 쓰이는 것으로,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온도에 의한 인장응력으로 나눈 값
- 온도제어양생(temperature-controlled curing):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일정 기간 콘크리트의 온도를 제어하는 양생
- 외부구속(external restraint):새로 타설된 콘크리트 블록의 온도에 의한 자유로운 변형이 외부로부터 구속되는 작용
14. 수중 콘크리트
- 수중 콘크리트(underwater concrete) : 담수 중이나 안정액 중 혹은 해수 중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 공기 중 제작 공시체(specimen of anti-washout concrete cast in air) : KS F 2403에서 규정하고 있는 거푸집을 사용하여 공기 중에서 수중 불분리성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제작한 공시체
- 수중 불분리성 콘크리트(anti-washout concrete under water) : 수중 불분리성 혼화제를 혼합함에 따라 재료 분리 저항성을 높인 수중 콘크리트
- 수중 불분리성 혼화제(anti-washout admixture) : 콘크리트의 점성을 증대시켜 수중에서도 재료 분리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혼화제
- 수중유동거리(underwater moving distance) :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타설 위치로부터 주위로 향하여 콘크리트가 유동한 거리
- 수중 제작 공시체(specimen of anti-washout concrete cast in water) : KCI-CT102에서 규정하고 있는 거푸집에 수중 불분리성 콘크리트를 수중에서 낙하시켜 제작한 공시체
- 수평 환산거리(converted horizontal distance) : 콘크리트의 배관이 수직관, 밴트관, 튜브관, 유연성이 있는 호스 등을 포함하는 경우에, 이들을 모두 수평 환산길이에 의해 수평관으로 환산하여 배관 중의 수평관 부분과 합한 전체의 거리
15. 해양 콘크리트
- 해양 콘크리트(offshore concrete) : 항만, 해안 또는 해양에 위치하여 해수 또는 바닷바람의 작용을 받는 구조물에 쓰이는 콘크리트
- 간만대 지역(tidal zone) : 평균 간조면에서 평균 만조면까지의 범위
- 내구성(durability) : 시간의 경과에 따른 구조물의 성능 저하에 대한 저항성
- 내동해성(freeze thaw resistance) : 동결융해의 되풀이 작용에 대한 저항성
- 물보라 지역(splash zone) : 평균 만조면에서 파고의 범위
- 방청제(corrosion inhibitor) : 콘크리트 중의 강재가 사용재료 속에 포함되어 있는 염화물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혼화제
- 알칼리골재반응(alkali aggregate reaction) : 알칼리와의 반응성을 가지는 골재가 시멘트, 그 밖의 알칼리와 장기간에 걸쳐 반응하여 콘크리트에 팽창균열, 팝아웃(pop out)을 일으키는 현상
- 에폭시 도장철근(epoxy coated bar) : 에폭시를 정전 분사한 이형철근 및 원형철근
- 프리캐스트콘크리트(precast concrete) : 콘크리트가 굳은 후에 제자리에 옮겨 놓거나 또는 조립하는 콘크리트 부재를 말함
- 해양대기중(marine atmosphere) : 물보라의 위쪽에서 항상 해풍을 받는 열악한 환경
- 해양환경(marine exposure) : 해양환경은 해안선을 기준으로 바다 쪽을 해상부, 육지 쪽을 해안 지역이라 구분하여, 해수 접촉부위별로 해양대기중, 물보라 지역, 간만대 지역, 해중으로 구분함
- 화학적 침식(chemical attack) : 산이나 황산염 등의 침식물질에 의해 콘크리트의 용해·열화 현상
16.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
-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preplaced concrete) : 미리 거푸집 속에 특정한 입도를 가지는 굵은골재를 채워놓고, 그 간극에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제조한 콘크리트
- 골재의 실적률(solid volume percentage of aggregate) : 용기에 채운 골재의 절대 용적을 그 용기의 용적으로 나눈 값의 백분율
- 굵은골재 최소 치수(minimum size of coarse aggregate) : 질량비로 95 % 이상 남는 체 중에서 최대 치수인 체의 호칭치수로 나타낸 굵은골재의 치수
- 팽창재(expansive agent) : 주입 모르타르에 혼입하여 팽창작용을 일으키는 무기 또는 유기 혼화 재료
17. 숏크리트
- 숏크리트(shotcrete, sprayed concrete) : 컴프레셔 혹은 펌프를 이용하여 노즐 위치까지 호스 속으로 운반한 콘크리트를 압축공기에 의해 시공면에 뿜어서 만든 콘크리트
- 급결제(accelerator) : 터널 등의 숏크리트에 첨가하여 뿜어 붙인 콘크리트의 응결 및 조기의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혼화제
- 노즐(nozzle) : 일정한 방향을 가지고 콘크리트를 압축 공기와 함께 뿜어붙이기 면에 토출시키기 위한 압송호스 선단의 통
- 숏크리트 타설 작업원(nozzle man) : 숏크리트의 타설을 전문적으로 하는 기술자로 소정의 교육을 수료한 자
- 영구 지보재(permanent support) : 숏크리트의 내구성을 확보하고 장기하중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며, 우수한 수밀성을 가지게 하거나 뿜어붙임 형식의 방수 멤브레인(sprayable waterproofing membrane) 또는 PCL(precast concrete lining) 등을 적용하여 숏크리트 층과 2차 콘크리트 라이닝 사이의 방수시트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하여 숏크리트가 영구적인 구조물로 역할하도록 하는 지보재
- 용접철망(welded steel wire fabrics) : 콘크리트 보강용 용접망으로서 철근이나 철선을 직각으로 교차시켜 각 교차점을 전기저항용접한 철선망
- 임시 지보재(temporary support) : 터널 및 지하공간 구조물의 조기 안정화와 초기 및 중간 기간의 하중에 대하여 안전성 확보를 목적으로 한 지보재
- 토출배합(mix proportion at the outlet of a nozzle) : 숏크리트에 있어서 실제로 노즐로부터 뿜어 붙여지는 콘크리트의 배합으로 건식방법에서는 노즐에서 가해지는 수량 및 표면수를 고려하여 산출되는 숏크리트의 배합
- 휨인성(flexural toughness) : 균열 발생 후 구조부재가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에너지 흡수 능력
18.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 제작공장 또는 제작장에서 생산된 일정한 형태의 콘크리트 부재
- 공작도면(shop drawing)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와 부속 연결철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생산과 현장 조립 등을 나타내는 도면
- 공장 제품(factory product) : 관리된 공장에서 계속적으로 제조되는 프리캐스트(PC) 및 프리스트레스트(PSC) 콘크리트 제품
- 성형(molding) :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거푸집에 채워 넣고 다져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모양을 만드는 것
- 오토클레이브 양생(autoclave curing) : 고온·고압의 증기솥 속에서 상압보다 높은 압력과 고온의 수증기를 사용하여 실시하는 양생
- 증기 양생(steam curing) : 높은 온도의 수증기 속에서 실시하는 촉진 양생
- 촉진 양생(accelerated curing) : 온도를 높게 하거나 높은 압력을 가하여 콘크리트의 경화나 강도의 발현을 빠르게 하는 양생
- 탈형(stripping) : 콘크리트를 부어 넣은 후 일정한 기간이 경과한 다음, 거푸집으로부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떼어내는 공정
- 탈형 강도(stripping strength) : 탈형할 때의 콘크리트 압축강도
19.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 : 외력에 의하여 일어나는 응력을 소정의 한도까지 상쇄할 수 있도록 미리 인공적으로 그 응력의 분포와 크기를 정하여 내력을 준 콘크리트를 말하며, PS 콘크리트 또는 PSC라고 약칭하기도 함
- 그라우트(grout) : PS 강재의 인장 후에 덕트 내부를 충전시키기 위해 주입하는 재료
- 덕트(duct)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를 시공할 때 긴장재를 배치하기 위해 미리 콘크리트 속에 설치하는 관
- 솟음(camber) : 보나 트러스 등에서 그의 정상적 위치 또는 형상으로부터 상향으로 구부려 올리는 것 또는 구부려 올린 크기
- 프리스트레스(prestress) : 하중의 작용에 의해 단면에 생기는 응력을 소정의 한도로 상쇄할 수 있도록 미리 계획적으로 콘크리트에 주는 응력
-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 :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일
- 프리스트레싱 힘(prestressing force) : 프리스트레싱에 의하여 부재단면에 작용하고 있는 힘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 콘크리트가 굳은 후에 제자리에 옮겨 놓거나 또는 조립하는 콘크리트 부재를 말하며 PC 콘크리트라고 약칭하기도 함
- PS 강재(prestressing steel)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 작용하는 긴장용의 강재로 긴장재 또는 텐던이라고도 함
20. 외장용 노출 콘크리트
- 외장용 노출 콘크리트(architectural formed concrete) : 부재나 건물의 내외장 표면에 콘크리트 그 자체만이 나타나는 제물치장으로 마감한 콘크리트
- 모따기(chamfering) : 날카로운 모서리 또는 구석을 비스듬하게 깎는 것
- 요철(reveal) : 노출 콘크리트 시공 후 모르타르나 매트릭스에서 돌출된 굵은 골재의 정도(projection)를 말함
- 흠집(blemish) : 경화한 콘크리트의 매끄럽고 균일한 색상의 표면에 눈에 띄는 표면 결함
21. 합성구조 콘크리트
- 합성구조 : 두 종류 이상의 재료를 조합해서 일체로 작용하도록 고안된 구조형식으로서 일반적으로는 강구조 부재와 콘크리트 부재를 일체화한 구조
- 강·콘크리트 샌드위치 부재(steel-concrete sandwich member) : 두 장의 강판을 강재로 연결하여 그 사이를 콘크리트로 충전한 구조 부재
- 강·콘크리트 합성구조(composite structure) : 강재 단일 부재 혹은 조립 부재를 철근콘크리트 속에 배치하거나 외부를 감싸게 하여 강재와 철근콘크리트가 합성으로 외력에 저항하는 구조
-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concrete filled tubular column) : 원형 또는 각주형의 강관 속에 콘크리트를 충전한 기둥
위 내용 참고하시어 특수콘크리트의 최신 정의와 그와 관계된 용어의정의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관련업무 자료 링크 ↓
반응형
'지침 및 시방서 > 건설기준 용어 정의 및 설계기준, 표준시방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전가시설] 추락방호망 설치기준 및 구조, 재료 등 관리기준 (0) | 2021.05.27 |
---|---|
[KCS 14 20 10] 콘크리트 관련 용어의 정의 (0) | 2021.04.23 |
[콘크리트일반]시멘트의 응결 및 경화(초결시간과 종결시간) 개요 및 의미 (0) | 2021.03.26 |
[ 지반분야 4 ]건설분야 용어의 정의 및 설계기준, 표준시방서 (0) | 2021.02.24 |
[ 지반분야 3 ]건설분야 용어의 정의 및 설계기준, 표준시방서 (0) | 2021.02.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