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슬러리월 시공 시 안정액(stabilizer liquid)의 기능
지하연속벽공법인 슬러리월은 안정액을 사용하여 공벽을 보호하여 지반을 굴착하여 축조하는 방식인데 이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안정액입니다. 이 안정액의 기능에 대해 아래 내용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안정액(stabilizer liquid)
- 정의
- 안정액의 요구성능
- 목적
- 안정액의 분류
- 안정액 사용 시 유의사항
안정액의 정의
- 안정액이란 굴착공사 중 굴착벽면의 붕괴를 막고, 지반을 인정시키는 비중이 큰 액체를 말합니다.
- 안정액은 지반의 상태, 굴착기계 및 공사 조건 등에 적합하도록 사용하여야 하며 안정액 관리가 허술하면 사고 발생의 원인이 되므로 철저한 안정액 관리 필요
안정액의 요구성능

안정액의 사용목적
- 굴착벽면 붕괴 방지
- 콘크리트 중력 치환
- 장기간 굴착면 유지
- 안정액 유출 보호막 형성
- 흙의 공극을 gel화
- 지하수 유입 방지
안정액의 종류
안정액 종류 | 종류별 특성 |
벤토나이트 | - 벤토나이트는 점토광물의 하나로 응회암, 석영암 등의 유리질 부분이 분해하여 생성된 미세점토로 물을 흡수하여 크게 팽창하는 성질이 있다. - 굴착지반중에 응집이 일어나 물의 이동과 지반의 붕괴방지 |
CMC | - CMC란 펄프를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만든 인공풀로서 물에 혼합하면 쉽게 녹아 점성이 높은 액체가 된다 - 반복사용이 가능하나 비중이 높은 안정액은 만들 수 없다. |
벤토나이트+CMC | - CMC 용액에 벤토나이트를 2~3% 혼합한 안정액 |
폴리머 안정액 | -친수성 고분자 화학물질로서 물에 용해되어 점섬을 나타내는 것으로 전분, 알긴산 소다, 한천, 고무, 젤라틴 등이 있다. - 굴착 시 혼입되는 토사는 벤토나이트보다 쉽게 분리된다 - 시멘트 염분에 의한 오염이 적다. |
염수 안정액 | - 해수에 의해 안정액의 오염이 우려될 때 상황에 따라 해수 또는 염수를 사용한다. - 벤토나이트 안정액에서 필요한 성질을 얻을 수 없을 때 염수중에서 점섬이 높은 내염성 점토를 1~2%정도의 농도로 첨가한다. - 시멘트 염분에 의한 오염이 적다. |
안정액 사용 시 유의사항
- 안정액 농도가 옅으면 붕괴 발생률이 높고, 농도가 너무 짙으면 CON'C와의 치환이 불완전하므로 공사 조건에 따른 적정 농도 유지 필요
- 지질, 지하수, 투수층, 공법 종류 등에 따라 결정
- 안정액의 지속적인 비중, 점성, 여과성 등 성질 측정으로 안전하게 사용
위 내용 참고하시어 슬러리월에서 안정액의 기능에 대해 이해하시기 바라며, 안정액의 정의, 요구성능, 목적, 안정액의 종류와 안정액 사용 시 유의사항에 대해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기타 관련 업무과 관련된 자료는 아래 카테고리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 관련업무 자료 링크 ↓
반응형
'건축시공기술사 서브노트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TS bolt(Torque Shear Bolt)의 정의와 시공상세도, 특징, 시공 시 유의사항 (0) | 2022.09.16 |
---|---|
석면조사 대상 및 해체, 제거 작업 시 준수사항 (0) | 2022.06.15 |
부력과 양압력의 정의와 차이점 그리고 건축물에 미치는 영향 (0) | 2021.10.25 |
[네트워크 공정표] node time(결합점 시각) 정의, 표시법, 계산방법(EST, LST, EFT, LFT) (0) | 2021.09.27 |
[네트워크 공정표] event(node) 단계, 결합점의 정의와 표기방법, 특징 (0) | 2021.09.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