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요약 : 하자검사는 연2회 검사해야 하며, 계약금액이 3천만원 이하인 공사계약의 경우에는 하자검사조서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법적근거에 대한 내용과 건설공사 종류별 하자담보책임기간을 아래 내용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시행 2020. 5. 27.] [대통령령 제30655호, 2020. 5. 1., 일부개정]
제61조(하자검사) ①각 중앙관서의 장 또는 계약담당공무원은 제60조의 규정에 의한 하자담보책임기간중 연 2회이상 정기적으로 하자를 검사하거나 소속공무원에게 그 사무를 위임하여 검사하게 하여야 한다.
②제1항의 규정에 의한 하자검사가 특히 전문적인 지식 또는 기술을 필요로 하거나 예정가격의 100분의 86 미만으로 낙찰된 공사로서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2조제1호의 규정에 의한 시설물에 대한 것인 경우에는 각 중앙관서의 장 또는 계약담당공무원은 전문기관에 의뢰하여 필요한 검사를 하여야 한다. <개정 2003. 12. 11., 2005. 9. 8., 2018. 1. 16.>
③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하자를 검사하는 자는 하자검사조서를 작성하여야 한다. 다만, 계약금액이 3천만원이하인 공사계약의 경우에는 하자검사조서의 작성을 생략할 수 있다. <개정 1999. 9. 9.>
제60조(공사계약의 하자담보책임기간) ①각 중앙관서의 장 또는 계약담당공무원은 공사의 도급계약을 체결할 때에는 전체 목적물을 인수한 날과 준공검사를 완료한 날 중에서 먼저 도래한 날(공사계약의 부분 완료로 관리ㆍ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에는 부분 목적물을 인수한 날과 공고에 따라 관리ㆍ사용을 개시한 날 중에서 먼저 도래한 날을 말한다)부터 1년 이상 10년 이하의 범위에서 기획재정부령이 정하는 기간동안 해당 공사의 하자보수를 보증하기 위한 하자담보책임기간을 정하여야 한다. 다만, 공사의 성질상 하자보수가 필요하지 아니한 경우로서 기획재정부령이 정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1999. 9. 9., 2008. 2. 29., 2013. 12. 30., 2014. 11. 4.>
②장기계속공사에 있어서는 연차계약별로 제1항의 규정에 의한 하자담보책임기간을 정한다. 다만, 연차계약별로 하자담보책임을 구분할 수 없는 공사인 경우에는 제1차계약을 체결할 때에 총공사에 대하여 하자담보책임기간을 정하여야 한다.
■ 건설산업기본법 시행령 [별표 4] <개정 2007.12.28>
건설공사의 종류별 하자담보책임기간(제30조관련)
↓ 관련업무 자료 링크 ↓
- 아파트(공동주택) 결로 하자 판정 기준이 되는 TDR(온도차이비율) 값 해설
- 공동주택(아파트) 하자의 법적 정의 및 하자 판정 기준
- [대법원 판례, 국토부고시] 아파트 하자 판정의 기준 도면은 무엇일까? (하자의 법적 정의, 하자 판정 기준)
- 신축 아파트(공동주택) 하자 예방, 입주자 점검, 입주자 권리강화 방안 관련 법적근거 및 주요 내용
- 준공시설물 하자관리, 하자보수계획서 양식 공유
- 준공시설물 하자검사 법적 기준 / 하자관리 업무체계도, 매뉴얼, 양식
- 하자검사조서 양식, 하자보수완료 검사조서 양식
광고
'건설업무 > 건축업무 관련 최신 법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전점검 대상 옥외광고물(옥외광고물법 제36조) (0) | 2020.10.05 |
---|---|
에너지 절약계획서 제출 대상 및 제외대상 법적근거(녹색건축법) (0) | 2020.09.25 |
설계안전성검토 관련 법령(건설기술진흥법 제75조의2) (0) | 2020.09.15 |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 (0) | 2020.09.14 |
2020년 조달청 시설공사 원가계산 간접공사비 적용기준 (0) | 2020.09.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