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화재위험작업 정의
소방시설법 시행령 제15조의5(임시소방시설의 종류 및 설치기준 등) ① 법 제10조의2제1항에서 "인화성(引火性) 물품을 취급하는 작업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작업"이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작업을 말한다.
- 인화성ㆍ가연성ㆍ폭발성 물질을 취급하거나 가연성 가스를 발생시키는 작업
- 용접ㆍ용단 등 불꽃을 발생시키거나 화기(火氣)를 취급하는 작업
- 전열기구, 가열전선 등 열을 발생시키는 기구를 취급하는 작업
- 소방청장이 정하여 고시하는 폭발성 부유분진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작업
- 그 밖에 제1호부터 제4호까지와 비슷한 작업으로 소방청장이 정하여 고시하는 작업
임시소방시설의 화재안전기준(NFSC 606)
관련근거 : 소방청고시 제2017-1호 임시소방시설의 화재안전기준
- 제1조(목적) 이 기준은「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10조의2제4항에서 소방청장에게 위임한 임시소방시설의 설치 및 유지·관리 기준과「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5조의5제2항 별표5의2 제1호에서 소방청장에게 위임한 임시소방시설의 성능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임시소방시설이란?
- "소화기"란 「소화기구의 화재안전기준(NFSC101)」제3조제2호에서 정의하는 소화기를 말한다.
- "간이소화장치"란 공사현장에서 화재위험작업 시 신속한 화재 진압이 가능하도록 물을 방수하는 이동식 또는 고정식 형태의 소화장치를 말한다.
- "비상경보장치"란 화재위험작업 공간 등에서 수동조작에 의해서 화재경보상황을 알려줄 수 있는 설비(비상벨, 사이렌, 휴대용확성기 등)를 말한다.
- "간이피난유도선"이란 화재위험작업 시 작업자의 피난을 유도할 수 있는 케이블형태의 장치를 말한다.
임시소방시설의 화재안전기준
소화기의 성능 및 설치기준
- 1. 소화기의 소화약제는 「소화기구의 화재안전기준(NFSC101)」의 별표 1에 따른 적응성이 있는 것을 설치하여야 한다.
- 2. 소화기는 각층마다 능력단위 3단위 이상인 소화기 2개 이상을 설치하고,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이하 "영"이라 한다) 제15조의5제1항에 해당하는 경우 작업종료 시까지 작업지점으로부터 5m이내 쉽게 보이는 장소에 능력단위 3단위이상인 소화기 2개 이상과 대형소화기 1개를 추가 배치하여야 한다.
간이소화장치 성능 및 설치기준
- 수원은 20분이상의 소화수를 공급할 수 있는 양을 확보하여야 하며, 소화수의 방수압력은 최소 0.1㎫ 이상, 방수량은 65L/min이상 이어야 한다.
- 영 제15조의5제1항에 해당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 작업종료 시까지 작업지점으로부터 25m 이내에 설치 또는 배치하여 상시 사용이 가능하여야 하며 동결방지조치를 하여야 한다. <개정 2016. 7. 18.>
3. 넘어질 우려가 없어야 하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하며, 식별이 용이하도록 "간이소화장치" 표시를 하여야 한다.
비상경보장치의 성능 및 설치기준
- 비상경보장치는 영 제15조의5제1항에 해당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 작업종료 시까지 작업지점으로부터 5m 이내에 설치 또는 배치하여 상시 사용이 가능하여야 한다. <개정 2016. 7. 18.>
- 비상경보장치는 화재사실 통보 및 대피를 해당 작업장의 모든 사람이 알 수 있을 정도의 음량을 확보하여야 한다.
간이피난유도선의 성능 및 설치기준
- 간이피난유도선은 광원점등방식으로 공사장의 출입구까지 설치하고 공사의 작업 중에는 상시 점등되어야 한다.
- 설치위치는 바닥으로부터 높이 1m 이하로 하며, 작업장의 어느 위치에서도 출입구로의 피난방향을 알 수 있는 표시를 하여야 한다.
법에서 정하는 화재위험 작업의 정의와 임시소방시설의 종류와 화재안전기준에 대해 법에 근거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아래는 건설현장에서 임시소방시설을 설치해야 하는 공사의 종류와 규모에 대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why-not-now.tistory.com/181?category=923123
why-not-now.tistory.com/180?category=912732
↓ 관련업무 자료 링크 ↓
반응형
'건설업무 > 건설공사 착공시 업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산먼지 발생사업 신고 대상 및 가설방음벽(RPP) 설치 기준 등 관련법규 (0) | 2021.03.02 |
---|---|
건설폐기물 배출 신고에 관한 법적 근거, 대상, 신고시기 및 변경신고에 관한 사항 (0) | 2021.02.05 |
건설현장 임시소방시설 의무 설치 공사 대상과 규모(법적근거, 과태료 기준 등) (0) | 2021.01.20 |
건설공사 관급자재를 사급자재로 변경 근거 및 방법, 절차 (관급자재 → 사급자재) (0) | 2020.11.06 |
건설공사 계약기간 조정 사유 및 예시 등 법적 근거 / 공기연장 법적 사유 (0) | 2020.11.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