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BF(barrier free ; 무장애)와 유니버셜 디자인(UD)
유니버셜디자인과 무장애(BF)는 많은 부분이 같지만 다릅니다. 무장애가 장애를 가진 사람의 접근성 향상을 위해 표준과 법적기준을 제시하는 과정에서 비롯된 개념이라면 유니버셜디자인은 보다 다양한 사용자를 포괄하고 또 법적기준을 넘어서는 감성적이고 창의적인 해결안으로 사용자의 만족도 향상까지 포함하는 것에 차이가 있습니다.
BF인증과 유니버셜디자인 비교표
구분 | 무장애(BF) | 유니버셜 디자인(UD) |
개념 |
신체적 불편 또는 장애가 있는 사람이 안전하고 쉽게 사용하도록 장애물 없는 물리적 환경 만들기 | 누구에게나 공평하고 이용하기 쉽고, 쾌적한 물리적, 사회적 환경 만들기 |
장애인을 주 대상으로 평등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법규 및 명령에 근거한 디자인 | 가능한 많은 사람의 요구에 만족시키기 위한 디자인 철학이자 접근 방법 | |
주로 표준을 통한 기준 설정 | 다양한 선택지를 통한 기회 제공 | |
대상 | 주로 장애인, 노인 등의 신체적, 정신적 어려움을 가진 사람들 | 성별, 연령, 국적, 장애의 유무에 관계없는 모든 사람들 |
건축물, 공공시설 등에 존재하는 물리적 환경(시설, 설비, 정보)의 장애물 제거 | 건축, 공공시설물 등의 물리적 환경을 비롯한 행정, 교육, 복지 등의 사회적 환경 가치 제고 | |
법적근거 |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 각 지자체의 유니버설 디자인 관련 조례 |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 | 서울특별시 유니버설디자인 도시조성 기본 조례 | |
장애물없는 생활환경 인증에 관한 규칙 제정(BF인증제도) | ||
태생배경 | 1974년 UN 장애인 생활환경 전문가 협회에 의해 "장벽이 없는 건축 설계"라는 보고서가 알려지면서 건축분야에 사용되기 시작 | 유니버설 디자인은 BF의 장애에 대한 한정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보편성의 관점에서 1980년대 유니버설디자인의 개념이 정립되기 시작 |
90년대에 관련 이론이 정립되면서 건축을 중심으로 barrier free(무장애) 명명 | 1997년 North carolina 주립대학 로널드 메이스가 현재와 같은 유니버설디자인의 정의를 완성하고 원칙을 설정 | |
장애인의 이동 및 접근을 위한 미국의 The 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ADA)에 근간하여 요구 사항을 구현하는 규정에서 비롯해 주로 접근성 보장을 위한 표준적인 기준 제시 | 법적기준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사안들을 디자인적인 사고와 해결안으로 사용자의 차별감 해소 및 자존감 향상에서의 필요에서 출발 | |
한국에서도 ADA의 기준을 바탕으로 법적 기준 마련 | 다양한 사용자의 이용편의 증진과 사회적 참여의 보장을 위해 환경과 제품 디자인 분야에서 서비스 전달까지 확장 | |
추 세 | 무장애(BF)는 그 범위를 확대하여 '모든 사람을 위한 디자인(Design for all)이라고 정의하며, 물리적 공간뿐만 아닌 제품과 인간 부변의 모든 환경을 대상으로 하는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으로 발전 |
위 내용을 바탕으로 유니버셜 디자인과 BF(무장애)에 대해 비교하시고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유니버셜 디자인의 개념과 필요성, 7가지 원리와 지침 그리고 적용 사례
↓ 관련업무 자료 링크 ↓
반응형
'건설업무 > 기타 건축업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설공사 환경 피해 관련 민원 및 청원 기관 그리고 민원 신청 방법(환경분쟁조정위원회) (0) | 2021.07.05 |
---|---|
대형 시스템거푸집(갱폼, ACS form, GCS form, Silp form) 장단점 등 특성 비교 (0) | 2021.06.24 |
굴착공사 신고 대상(제외 대상 포함) 및 신고 방법 (0) | 2021.06.13 |
복층구조 건축법 허가기준 (0) | 2021.06.11 |
광주 건물붕괴(해체 및 철거공사) 사고 원인과 예방대책에 관한 주관적인 견해 (0) | 2021.06.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