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설업무505

방수공사 종류 및 특성(정의, 장단점, 온도특성, 안전성, 시공성) 비교 방수공사 종류 및 특성 비교 건축물 준공 후 하자보수의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것이 하자보수일 것입니다. 그만큼 방수시공은 고도의 기술보다는 상세부위의 세심하고 성실한 시공을 해야 합니다. 아래 방수공법의 종류와 특성에 대해 살펴보시고 구조물의 특성과 온도, 바탕, 시공성 등으로 고려하여 방수공법 선정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방수공사 종류 규산질계도포방수(침투성 방수) 시멘트 모르타르계 방수 아스팔트 방수 시트방수 도막방수 시트 및 도막 복합방수 방수공사 종류별 특징(정의, 기준, 장점, 단점, 온도특성, 안정성, 시공성, 공사기간, 가격) 더보기 방수공사 종류 및 특징(정의, 장단점, 특성 비교) 구분 규산질계 도포방수 (침투성방수) 시멘트모르타르계 방수 아스팔트방수 시트방수 도막방수 시트 및 도막 .. 2022. 9. 15.
2022년 하반기 적용 정보통신공사 노임단가(노무비) 22년 하반기 적용 정보통신부문 11개 직종 노임단가(22년 9월 1일 이후 적용) 통계법 제17조에 의해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에서 발표한 11개 직종의 정보통신부문의 시중노임단가를 아래와 같이 공유하오니 예정가격 산정 및 노무비 산정에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적용기간 : 2022.9.1.~2022.12.31. 2022년 하반기 적용 정보통신공사 11개 직종 노임단가 통신내선공 : 242,964원 통신설비공 : 272,067원 통신외선공 : 357,144원 통신케이블공 : 381,041원 광케이블설치사 : 398,214원 H / W 시험사 : 349,792원 S / W 시험사 : 391,265원 통신관련기사 : 284,842원 통신관련산업기사 : 273,786원 통신관련기능사 : 227,878원 위 내용 참.. 2022. 9. 14.
2022년도 하반기 적용 전기공사직종 노임단가표(전기노임/ 전기 노무비) 2022년 하반기 적용 전기공사 노무비(전기단가) 시중노임 대한전기공사협회에서 9월 1일 발표하여 2022년 9월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의무적으로 적용해야 하는 전기공사 주요직종 노임단가를 발표하였으니 아래 자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더보기 순번 직 종 명 2022년 하반기 적용 전반기 대비 전년 동기 대비 2022년 상반기 증감률 2021년 하반기 증감률 1 송전전공 518,464 494,608 4.8% 478,574 8.3% 2 송전활선전공 568,157 542,726 4.7% 521,531 8.9% 3 배전전공 387,818 379,666 2.1% 367,399 5.6% 4 배전활선전공 509,392 508,299 0.2% 496,651 2.6% 5 변전전공 429,168 410,05.. 2022. 9. 13.
2022년 하반기 적용 건설공사 직종별 노임단가, 노무비( 대한건설협회 자료 9월1일 이후 적용) 2022년 하반기 건설업 시중노임단가(노무비) 22년 9월 1일 이후 적용 대한건설협회에서 건설공사의 직종별(건설, 광전자, 문화재, 원자력, 기타) 임금실태 조사보고서를 통해 노임단가, 시중노임, 노무비를 발표하였습니다. 이 자료는 22년 9월 1일부터 22년 12월 31일까지 적용하는 자료이오니 아래 내용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본문 하단 자료 붙임) 2022년 상반기 건설업 노무비 노임단가 적용시점 : 2022년 9월1일 ~ 12월 31일 차기 임금공표 예정일 : 2023년 1월 1일(차기 임금 공표 전까지 하반기 자료 활용) 노임단가 적용 법적 근거 통계법 제17조에 의한 지정통계(승인번호 제365004호) 1.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7조 제7조(원가계산을 할 때 .. 2022. 9. 1.
휴게시설 설치의무화 제도 개요(대상, 설치 및 관리기준, 과태료 등) 휴게시설 설치 의무화 제도 개요(대상, 설치 및 관리기준, 과태료 등)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으로 사업주는 근로자가 휴식시간에 이용할 수 있는 휴게시설을 의무적으로 갖추도록 하였습니다. 2022년 8월 18일부터 시행되는 「휴게시설 설치 의무화 제도」에 대해 건설공사를 포함한 설치 대상과 설치 및 관리기준, 미설치 시 과태료 등에 대해 아래 내용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근거 산업안전보건법 제128조의 2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96조의 2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194조의 2, 별표 21의 2 휴게시설 설치 의무화 제도 개요 21년 8월 17일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으로 제128조의 2에 따라 사업주는 근로자가 신체적 피로와 정신적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도록 휴식시간에 이용할 수 있는 휴게시설을 갖추어.. 2022. 8. 17.
(22년 6월 개정)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기준 해설(사용 가능 내역과 불가 내역 )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 가능 품목 및 내역과 사용불가 내역 구분 2022년 6월 2일 고용노동부 고시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 이 개정됨에 따라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사용범위가 확대되었고, 기존 고시에서 별표 2로 관리되었던 안전관리비의 항목별 사용 불가 내역이 삭제되었습니다.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사용불가내역이 삭제되었지만 사용기준에 부합하더라도 안전관리비로 정산받지 못하는 비용들이 있습니다. 이 점은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정산 시 중요하므로 최신 개정된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사용기준에 대해 아래 내용 일독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관련 근거 (2022년 6월 2일 시행) 고용노동부 고시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 (2022년 6월 배포 자료) 고용노동부 산업안전보건 본부 건.. 2022. 8. 5.
공사원가 중 경비의 종류와 의미 경비란? 경비는 공사의 시공을 위하여 소요되는 공사원가 중 재료비 , 노무비를 제외한 원가를 말하며, 기업의 유지를 위한 관리활동부문에서 발생하는 일반관리비와 구분됩니다. 경비의 종류 전력비, 수도광열비, 운반비, 기계경비, 특허권사용료, 기술료, 연구개발비, 품질관리비, 가설비, 지급임차료, 보험료, 복리후생비, 보관비, 외주가공비,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소모품비, 여비・교통비・ 통신비, 세금, 공과금, 폐기물처리비, 도서인쇄비, 지급수수료, 환경보전비, 보상비, 안전관리비, 건설근로자퇴직공제부금비, 관급자재 관리비, 법정부담금, 기타 법정경비 경비의 종류와 의미 번호 경비의 종류 의미 1 전력비, 수도광열비 계약목적물을 시공하는데 소요되는 해당 비용을 말한다. 2 운반비 운반비는 재료비에 포함되지 않은.. 2022. 8. 5.
내진성능 목표(즉시거주 IO , 인명안전 LS, 붕괴방지 CP)의 개념 즉시 거주 IO , 인명안전 LS, 붕괴 방지 CP 건축물은 건축구조기준에서 분류한 건축물의 중요도에 따라 내진등급을 설정하고, 내진등급에 맞는 성능목표를 확보해야 내진성능이 확보된 건축물이라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IO, LS, CP는 무엇을 의미하는지 아래 내용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건축물 중요도와 내진등급, 성능목표와의 관계 건축물 중요도 내진등급 내진설계 중요도 계수 성능목표 구조요소의 성능수준 재현주기 성능수준 중요도(특) 특 1.5 2400년 인명보호 인명안전, LS 1000년 기능수행 거주가능, IO 중요도(1) Ⅰ 1.2 2400년 붕괴방지 붕괴방지, CP 1000년 인명보호 인명안전, LS 중요도(2), (3) Ⅱ 1.0 2400년 붕괴방지 붕괴방지, CP 1000년 인명보호 인명안전,.. 2022. 8. 3.
(건축구조기준) 건축물 중요도 분류와 내진등급, 내진설계 중요도 계수 건축물 중요도 분류와 내진등급, 내진설계 중요도 계수 건축물 구조 설계 및 내진설계 시 건축물의 중요도와 내진설계 중요도 계수에 대해 이해하셔야 합니다. 건축물의 중요도에 따라 내진등급이 결정되고 내진등급에 따라 중요도 계수와 성능목표가 정해지기 때문입니다.. 건축물의 중요도 분류 관련 근거 : 건축구조기준 총칙 KDS 40 10 05 : 2019 중요도 구분 해당 건축물 중요도(특) ① 연면적 1,000㎡ 이상인 위험물 저장 및 처리시설 ② 연면적 1,000㎡ 이상인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청사·외국공관·소방서·발전소·방송국·전신전화국 ③ 종합병원, 수술시설이나 응급시설이 있는 병원 ④ 지진과 태풍 또는 다른 비상시의 긴급대피수용시설로 지정한 건축물 중요도(1) ① 연면적 1,000㎡ 미만인 위험물 .. 2022. 8. 3.
면진구조와 제진구조의 개념과 차이점 면진구조 VS 제진구조 면진구조와 제진구조는 내진성능을 향상시키는 구조로 지진 발생 시 구조물에 전달되는 지진력을 상쇄시키는 방법에 따라 면진구조와 제진구조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면진 : 지진력이 구조물에 상대적으로 약하게 전달되도록 함 제진 : 지진 발생 시 구조물로 전달된 지진력 상쇄 면진구조와 제진구조의 개념 구분 면진구조 제진구조 개념 수평방향으로 매우 유연한 장치를 사용하여 지면과 건물을 분리시킴으로서 건물로 전달되는 지진의 영향을 최소화 하는 구조 건물 내부나 외부에 특수한 장치를 배치하여 지진이 발생할 경우 건물에 제어력을 가하여 지진에 대한 구조물의 응답을 제어하는 구조물 특징 ① 안전성 확보 - 지반과 구조물의 분리로 건물에 전달되는 지진하중 및 진동 감소 - 지진 발생 후에도 건물의 .. 2022. 8.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