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사업비 관리제도의 개요(정의, 목적, 대상, 관리절차, 업무흐름도)
총사업비 관리제도 개요(정의, 목적, 대상, 관리절차, 업무 흐름도) 국가의 예산 또는 기금으로 시행하는 대규모 사업의 총사업비를 사업 추진 단계별로 조정, 관리하는 제도에 대해 총사업비 관리제도의 정의, 목적, 관리대상, 관리절차, 업무흐름도에 대해 아래와 같이 정리하였으니 총사업비관리제도의 업무 흐름에 대해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총사업비관리제도 개요 총사업비의 정의 대규모 사업의 추진에 소요되는 모든 사업비용을 합한 금액으로 건설사업의 경우 토목, 건축 등 건설공사에 소요되는 모든 경비로서 공사비, 보상비, 시설부대경비로 구성되며, 국가 부담분, 지방자치단체 부담분, 공공기관 부담분 및 민간 부담분을 포함함. 총사업비에 포함되는 않는 재원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에 의한 민간부..
2022. 7. 17.
건축물관리계획서 수립 대상 및 작성기준, 세부내용 등 정리
건축물 관리계획서 수립 대상 및 내용 20년 5월 건축물관리법 제정에 따라 사용승인을 받고자 하는 건축물이 건설산업 기본법 제41조에 따라 건설사업자가 시공하여야 하는 건축물인 경우 해당 건축물의 건축주는 건축물 관리계획을 수립하여 사용승인 신청 시 허가권자에게 제출하여야 합니다. 건축물관리법에 따른 건축물 관리계획서를 작성하고 제출해야 하는 대상과 작성방법, 내용에 대해 말씀드리기 전에 건축물 관리계획서가 무엇인지에 대해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건축물 관리계획이란? 건축물 관리계획은 건축물 관리법에 따라 건축물의 현황, 건축주, 설계자, 시공자, 감리자, 마감재 및 부착품, 장기수선계획, 화재 및 피난안전, 구조안전 및 내진능력, 에너지 및 친환경 성능 관리 등의 내용을 포함한 계획서입니다. 또한, 건축..
2022. 7. 12.